안녕하세여~ Hak2입니다.😆
저번에는 출력하기에 대한 문제를 풀어봤는데 이번에는 입력과 출력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010번 문제부터 1027번 문제로 입력과 출력에 대한 문제입니다.
우선, 변수 n을 선언한 상태에서 정수 하나를 입력받아 n에 저장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파이썬에서의 입력은 input()을 통해 문자열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습니다. 입력을 받을 때 정수로 형변환을 하고, 출력을 하면 입력받은 정수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문자의 입력은 형변환 없이 input() 함수를 통해 입력받아 출력하면 문자열 형태로 출력됩니다.
입력받은 값을 실수로 입력받기 위해서는 float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는데,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파이썬에서의 출력 기본값은 입력받은 값만큼 출력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서식 지정자라는 것을 통해 자릿수를 지정하거나 다른 언어처럼 기본 소수점 표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냥 변수를 출력하면 위처럼 됩니다. 그렇기에 아래와 같이 해야 합니다.
소수점을 지정하거나 지정하지 않고 출력하면 됩니다.
파이썬에서의 입력받은 문자의 구분은 split() 메서드를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 두 입력을 구분하여 a와 b의 변수에 넣고, 콤마로 구분하여 출력하면 됩니다.
두 문자의 입력을 받아 순서를 바꿔 출력하기 위해서는 입력받은 변수의 순서를 바꿔 출력하면 됩니다.
실수(float)의 입력을 받아 원하는 자릿수만큼의 출력을 하기 위해서는 서식 지정자의 활용을 통한 자릿수 출력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출력을 할 때 %.자릿수를 하면 원하는 만큼의 자릿수가 출력이 됩니다.
같은 수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같은 변수를 출력하면 됩니다.
입력을 받을 때 점(.)을 구분하여 입력되기에 split('.')을 이용하여 입력받고 입력받은 값을 두 변수에 저장하여 출력 시 구분자로 sep을 이용하여 ':'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연, 월, 일 순으로 점으로 구분되어 입력받아 연.월.일 형태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04변수.%02변수.%02변수'형식의 서식 지정자를 이용하여 출력하면 빈 공간은 0으로 채워주며 2자리의 공간인 숫자가 출력됩니다.
두 변수를 선언하여 앞자리 번호와 뒷자리 번호의 값을 저장시키고, split() 메서드를 통해 구분자의 분류를 '-'로 합니다. 그 후, 주민번호의 앞자리와 뒷자리를 다른 변수에 저장시켜 두 변수를 합쳐 출력하면 됩니다.
문자를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해서는 input() 함수를 통해 가능한데 문자열의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반복문과 조건문의 사용으로 가능합니다.
파이썬에서 공백을 포함한 문자열을 입력받기 위해서는 따옴표로 감싸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서 문자열의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반복문과 조건문의 사용이 필요합니다.
실수의 부분을 소수점 아래를 따로 입력받기 위해서는 두 값으로 입력받아 출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정수 부분과 실수 부분의 값을 split('.') 메서드를 통해 점 구분자를 중점으로 두 변수를 입력받아 출력시키는 방법입니다.
단어를 입력받아 하나의 문자씩 출력하기 위해 저는 리스트 형태로 입력받은 문자열을 저장하여 반복문을 통해 하나씩 꺼내어 출력하였습니다.
정수를 하나씩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해서 리스트를 이용하였습니다. 리스트에 숫자들을 저장시켜 인덱스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하나씩 정수로 형변환하면서 출력하였습니다.
시:분:초가 입력되는데 분만 출력되게 하기 위해서는 각 3개의 변수에 시, 분, 초를 입력받아 분에 대해 출력하면 됩니다.
년월일이 점으로 구분되어 있는 입력값을 받아 일월년으로 바꾸며 대시 형태로 구분되게 하기 위해서는 변수의 순서를 바꿔 서식 지정을 해주면 됩니다.
간단하게 입력과 출력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TeamH4C_ProjectH4C > 프로그래밍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amH4C_CodeUp] 기초 100제_출력반환 (0) | 2021.02.04 |
---|---|
[TeamH4C_CodeUp] 기초 100제_데이터범위의 확인 (0) | 2021.02.04 |
[TeamH4C_CodeUp] 기초 100제_출력하기 (0) | 2021.02.02 |
[TeamH4C_Python] 함수의 사용 (0) | 2021.01.31 |
[TeamH4C_Python] 문자의 활용 (0) | 2021.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