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H4C_ProjectH4C/프로그래밍 언어

[TeamH4C_CodeUp] 기초 100제_출력반환

P4P3R_H 2021. 2. 4. 23:32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1031번 문제부터 1037번 문제입니다. 짧은 만큼 최대한 설명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10진수의 입력을 받아 8진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8진수의 표기법은 숫자 앞에 0o를 붙여 표시를 해야 하지만 모니터 상에는 0o가 표시가 되어 있지 않기에 표기하지 않고 출력해보겠습니다.

정수로 입력받기 위해 int로 형변환하여 변수에 저장합니다. 그 후, format메서드를 통해 자료형의 형식을 o로 지정하여 출력하면 8진수로 간단하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format메서드에 자료형을 지정함으로 해당 자료형으로 변환하여 출력해줍니다. 앞에 진수 표현을 하고 싶다면 o앞에 #을 붙이면 됩니다.

 

16진수의 출력 또한, format메서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형식을 지정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

 

대문자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소문자로 hex를 표시했던 x를 대문자로 바꾸어 출력하면 됩니다.

 

8진수로 입력받아 10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int로 값을 묶어 데이터 형식을 8진수를 뜻하는 8로 설정하면 8진수로 입력되고, 10진수로 저장되는 형태로 됩니다.

 

16진수로 입력받아 8진수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int함수를 이용하여 16진수로 입력받은 값을 10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format함수를 사용하여 8진수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아스키코드의 영문자를 10진수로 변환하는 함수는 ord() 함수이고, 10진수를 아스키코드 영문자로 변환하는 함수는 chr() 함수입니다. 그렇기에 영문자를 받아 10진수로 출력하기 위해 ord()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받은 영문자를 10진수로 출력하게 하였습니다.

 

방금 정리했듯이 아스키코드값을 문자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chr()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출력에 대한 값 변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