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H4C_ProjectH4C/프로그래밍 언어

[TeamH4C_CodeUp] 기초 100제_산술연산과 시프트연산

P4P3R_H 2021. 2. 5. 00:36

이번에는 산술 연산에 대해 풀어보겠습니다!

산술 연산에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에서의 몫과 나머지 구하기가 있을 것입니다.

 

두 정수를 입력받아 더한 값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파이썬에서는 두 값을 정수로 형변환하여 입력받은 후, 입력받은 변수를 더해주어 출력해주면 됩니다.

 

파이썬에서의 데이터형의 범위는 따로 분리되어 입력되거나 출력되지 않기에 일반적으로 하는 방법으로 입력받아 출력하면 됩니다.

 

정수 하나를 입력받아 부호를 바꾸기 위해서는 변수 앞에 마이너스(-)만 붙이면 부호가 바뀝니다.

 

하나의 영문자를 받아 다음 문자를 출력하기 위해 아스키코드 값을 이용하면 됩니다. 영문자를 받아 ord() 함수를 이용하여 10진수로 변환하여 1을 더하고 다시 chr() 함수로 문자로 변환해 출력하면 입력받은 영문자의 다음 문자가 출력됩니다.

 

두 값을 나누어 몫만 구하기 위해서는 파이썬에서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산자는 나눈 값의 소수점은 버리고 출력하여 줍니다.

 

나머지는 % 연산자를 이용하여 나머지의 값만 구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증감 연산자(++, --)와 같은 형식은 전위와 후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출력되기에 파이썬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과 -=과 같은 복합 대입 연산자를 이용하여 값을 증가시켜 다시 변수에 저장하는 형태로 존재합니다.

 

정수 2개를 입력받아 산술 연산(+, -, *, //(몫), %(나머지), /(나눈 값))을 순서대로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모두 줄 바꿈이 되기에 print() 함수를 따로 선언해주어 자동 줄 바꿈이 되도록 만듭니다.

 

정수 3개를 입력받아 합과 평균을 구하기 위해 위에서 했던 방법대로 하여도 되지만, list형식에 저장하여 list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들의 합을 구하는 sum() 함수를 이용하여 합계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평균은 합계에 list의 요소 개수를 나누어 구할 수 있습니다.

 

left-시프트 연산을 통해 어떤 값에서 2배를 한 값을 출력할 수 있는데 left-shift 연산은 2진수에서 왼쪽으로 밀려 뒤에 0이 더 생기는 형태로 값이 증가하는 방식입니다. 그렇기에 한 번만 실행하면 값의 2배가 되는 형태가 될 것입니다.

 

위의 shift연산을 사용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 left-shift연산은 쉽게 어떤 값에서 2의 배수만큼 계속 곱해지는 형태입니다.

 

이상으로 산술과 shift연산에 대해 풀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